안녕하세요 MAG입니다 !
오늘은 calc() 함수를 써볼건데요 !
calc 함수 는 css 속성 값으로 계산식을 적어 따로 계산 없이 값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단위로는 %,px, em 등 모두 사용가능하지만, 상대단위로 사용해야 적용이 가능합니다.
** 중요한 것은 계산식을 쓸때 공백을 꼭 띄워줘야 적용이 된다는것 !
**calc 함수는 주로 전체 document에서 양쪽 패딩값을 줄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데요 !
동일한 퍼센티지의 값을 줄때도 많이 사용됩니다. 중첩사용도 가능합니다.
하단은 많이 사용하는 calc 함수의 예시입니다 !
더 자세한 내용이나 브라우저 호환성은 하단 MDN 참고하세요 :) ♡
.container{
width: calc(100% - 1em);
margin: 0 auto; /*document 100% width에서 양쪽 1em 씩 마진을 주고 중앙정렬 할때! 꼭 띄어쓰기*/
}
div{
width: calc(100%/6);
height: inherit;
}
span{
width: calc(calc(100%/2)/2); /*중첩가능*/
height:inherit;
}
developer.mozilla.org/ko/docs/Web/CSS/calc()
'프론트엔드 공부 > html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g dash-array와 stroke 활용하여 움직이는 글자 만들기 (0) | 2021.05.05 |
---|---|
svg 를 활용한 글자곡선 만들기 (0) | 2021.05.05 |
overflow:hidden 이외에 iframe scroll 없애는 방법 ! (0) | 2021.05.04 |
css rotate , transform-origin으로 중심축 잡기 (0) | 2021.05.01 |
css grid 반응형 예제 (0) | 2021.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