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 https://www.codingfactory.net/10748
1.em
상위요소 기준의 font-size 값
ex)
dif{font-size:16px;}
div{
font-size:1.5em /*24px*/;
padding: 2em /*32px*/
}
2.rem(root em)
html 기준으로 font-size를 정의
em과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
rem은 그리드시스템이나 보다 정확한 사이즈나 크기 조정을 위해 사용
html { font-size: 16px; }
body { font-size: 2em; } /*32px*/
div.container { font-size: 2em; } /*64px*/
div.content1 { font-size: 2rem; } /*32px*/
div.content2 { font-size: 2em; }/*128px*/
3. vh vw
반응형 웹디자인은 거의 %단위로 많이 사용하는데,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
vw vh는 높이값 너비값의 1/100 단위이다. 풀스크린 사이트 제작에 적합하다.
폰트사이즈로도 설정이 가능하다.
>>> %와 vw vh의 차이점 <<<
*** % : css 너비 값이 부모요소의 상대적 영향을 많이 받는 경우
***vw,vh : css 너비 값이 절대적 영향을 가지는 경우
4.ex, ch
폰트사이즈에 비례한다는 점에서 em과 rem과 유사하다.
em과 rem은 font family에 의존하는 반면
ex,ch는 문자열과 관계가 깊다
span{
width:100ch; /*10개의 문자열을 포함한 너비*/
}
ex는 em의 절반값으로도 볼 수 있으며, 소문자 높이값이기도 하다.
주로 폰트 중간 지점을 찾기 위한 용도로 많이 쓰인다.
5.vm/vh
뷰포트를 기준으로 하는 값으로 모바일기기에서 주로 볼 수 있는 단위이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출처를 확인해 보기 바란다.
출처:
'프론트엔드 공부 > html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fliter blur animation (0) | 2021.05.13 |
---|---|
css vertical flip animation (0) | 2021.05.11 |
css 애니메이션 : 타이핑 텍스트효과(sprite animation,steps) (0) | 2021.05.11 |
css animation fill-mode(애니메이션상태조정) (0) | 2021.05.07 |
svg dash-array와 stroke 활용하여 움직이는 글자 만들기 (0) | 2021.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