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개발관련자료

[AWS] 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Associeate - 조이지트 배너지[1]

[목차]

1.클라우드 컴퓨팅과 AWS 개요

2.AWS 스토리지 서비스

3.VPC

4.EC2 인스턴스

5.IAM(신분 및 권한 관리)

6.Auto Scaling

7.AWS 어플리케이션 배포 및 모니터링

8.AWS 데이터베이스

9.AWS Well-Architaected Framework

 

1장 클라우드 컴퓨팅과 AWS 개요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요

: 인터넷을 통해 온디맨드(언제든지 접근 가능하며 사용량만큼 비용 부담)방식의 사용량에 따른 과금 모델을 따르는 컴퓨팅 기술

-AWS 기반 클라우드의 컴퓨팅 이점

:대규모 데이터 센터를 구비하는 비용 부담을 덜수 있고, 인프라 확장과 축소가 자유로우며 규모의 경제에 의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센터 추가나 재난 시나리오에 대비 가능하며 업그레이드나 변경 없이 즉각 사용 가능하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3대 모델

:IaaS(컴퓨팅,네트워킹,스토리지,데이터센터용 공간 제공/ 완벽한 통제성 제공)-서비스로서의 인프라

PaaS(관리업무,용량계획,업그레이드 등을 제외한 비즈니스 관련 배포와 관리에 집중하는 모델) -서비스로서의 플랫폼

SaaS(서비스요소 호스팅, 관리만 고려 ex세일즈포스)-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컴퓨팅 3대 배포 모델

:올인클라우드(=퍼블릭 클라우드 , 클라우드 내에서 새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거나 기존 어플리케이션을 클라우도로 이전 , 예로 넷플릭스가 있다)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퍼블릭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환경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일시에 클라우드 이전은 어렵지만 일정기간을 두고 이전 가능하다), 온프레미스 또는 프라이빗 클라우드(가상화나 자원관리 도구로 자체 데이터 센터에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한다.예로 솔리라스가 있다)

-AWS 태동과 발전

초기모델은 2006년에 만들어졌으며 초기 아마존은 자체 어플리케이션 운영과 인프라 자동화로 시작되었으나 이내 대규모 데이터 센터 기술 융합이 경쟁력임을 깨닫고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AWS 글로벌 인프라

190여개국에서 사용중이며 리전(약 30개), AZ(가용영역, 1AZ 마다 6개의데이터센터로구성, total 76개),상호접속위치(POP,약 216개, 엣지로케이션+리전별 엣지)등으로 구성된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 AZ의 보조장치인 로컬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AWS의 보안과 준수 원칙

:AWS는 공유보안모델을 따르고 있으며, 물리적 보안(데이터센터,비디오감시,하드웨어,서버..)은 AWS가 호스팅하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은 고객이 책임지게 되어있다.

 

-AWS 주요 제품과 서비스(글로벌인프라(리전,AZ,POP)와 그 하단의 코어서비스가 있다.)

*컴퓨트(서버기반 및 서버리스 환경설정 제공, 리스소 확장 자동화, 배포) / *네트워킹(인터넷 혹은 별도 접속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에 접속) / *보안및준수규정 /*스토리지와 콘텐츠 딜리버리/*데이터베이스/ *분석도구 / *애플리케이션 서비스(API실행, 분산 컴포트간 역할 분담, 마이크로 서비스실행..)/ *개발자도구(개발 생애주기 중 신속하게 배포할 수 있는 다수 서비스 제공) / *관리도구(하이브리드,클라우드 자원을 모니터링, 자동화 프로비전 및 관리) / *메시징(메시지 발송,구독배포..)/* 마이그레이션(AWS로 이전 서비스) /*사물인터넷(RFID 연구자인 캐빈 애쉬튼이 처음사용, 실존하는 물리 세계와 디지털세계 연결) /*모바일서비스